시내 곳곳에 크고 작은 사당이 많은데,

평일 낮에도 사람들이 꼭 있다.

편안하게 볕을 피할 수 있는 공간.

 

도로에는 오토바이만을 위한 대기 공간도 있다.

차들은 오토바이보다 뒤에서 기다리고,

오토바이들은 능숙하게 네모 박스 안으로 삼삼오오 모여든다.

 

빙글빙글 도는 육교.

 

버블티를 처음으로 만들었다는 춘수당春水堂.

버블티가 유명하다고 하길래 찻집이라 생각했는데 아니었다.

음식점이라 점심을 먹기 위해 웨이팅 하는 사람들이 꽤 있다.

 

왜요,

제가 버블티 실링 빨대로 못 뚫는 사람 같으세요?

당연한 소리를 하시네.

 

찻잎의 향이 살짝 더 존재감 있다는 점 말고는

한국에서 먹는 맛과 크게 다를 바 없다.

하지만 이제 어디가서든 원조 버블티를 먹어봤다고 자랑할 수 있게 됐다.

 

계속해서 초여름에서 한여름으로 들어가는 입구쯤의 날씨.

 

무수히 줄지어놓은 공중전화박스에 두 개 만 남아있다.

듣고 싶은 목소리를 언제든 들을 수 있는 시대니까.

 

기다랗게 인도로 뻗어 내려온 가지는

자르는 대신 돌돌 말아 묶어둔다.

식물과 더불어 사는 나라.

하지만 꽃은 버리셨네요.

 

제비.

 

청설모.

 

응?

공원의 입구.

 

버스킹.

 

저는 사수자리예요.

 

타이중 공원을 한가롭게 걷는다.

골목에선 코빼기도 보이지 않던 비둘기들이 전부 공원에 있다.

 

 

한국에서는 식물원에서도 보기 쉽지 않을 나무가

대만에서는 길거리며 공원에 아무렇지 않게 자리 잡고 있다.

어느 나라나 '평범하네'의 기준은 다르구나.

 

대만인 흉내: 평범하네요.

 

숨은 그림 찾기.

 

두리번 두리번 거리더니

똑 닮은 다른 새가 나오자 같이 날아갔다.

 

숨은 그림 찾기.

 

그냥 가버렸다고 거북이가 내 욕 했을까.

 

정말 큰 나무!

나도 들어갈 수 있을 만큼 공간이 컸는데

혼나기 싫어서 안 들어갔어요.

 

공원의 구석에서 만난 공간.

대만에는 입구마다 놓인 돌사자상을 곧잘 볼 수 있다.

왼쪽은 암사자(발밑에 새끼 사자), 오른쪽은 수사자(발밑에 구슬).

각기 집의 안과 밖을 수호하는 의미를 지녔다고 들었다.

 

동상에는 지성선사至聖先師라 쓰여있는데

이건 가장 뛰어난 성인, 공자를 뜻하는 말이다.

도심에는 신을 모시는 사당뿐 아니라 공자를 모시는 묘도 더러 있다.

 

방금까지 아름답다고 생각하고 있었는데

이 염소는 뭐지?

 

또 걷고 걸어 이번에 찾아가는 곳은 완허궁Wanhe Temple.

타이중에서 가장 오래된 사당이다.

 

표지판이 걸린 길로 들어가고부터

향을 꽂아둔 간소한 제사상이 거리로 나와있어

신기하게 구경하는데,

 

저 멀리서부터

나팔을 불고 춤추는 소리가 들리기 시작했다.

 

(아마도) 가짜 종이돈을 태운 흔적.

종이는 금지金紙라고 부르는데, 신과 조상에게 제사를 지낼 때

불로 태움으로써 공물을 올리는 의식이다.

 

나무로 만든 화려한 가마를 완허궁의 안으로.

 

무슨 영문인지 모른 채 후다닥 뒤따라 들어왔다.

과일, 음료, 과자에 꽃이며 갖은 공물이 즐비하고,

발 디딜 틈도 없이 사람이 가득하다.

뭐야, 나도 같이 해요.

 

萬和宮
완허궁

恭祝天上聖母聖誕千秋
천상성모의 탄신일을 경건히 축하드립니다

農曆 3月20日
음력 3월 20일

 

알고 보니 마조媽祖신의 생일잔치가 벌어지고 있던 중!

 

마조는 거대한 여성의 형태를 한 해양의 신으로,

한국 해안가 마을의 '마고할미' 신화와도 관련이 있다고 할 정도로

바다와 인접한 동남아시아 인접 국가들에 의미가 큰 신이라고 한다.

 

폭죽을 터트린 흔적.

대만도 중국도 경사에는 꼭 폭죽을 터트리는 걸까?

가마를 싣고 춤추기에 저 바로 앞에 서서 구경하고 있자니

사람들이 갑자기 귀를 막고 물러나는데 나는 아무것도 모르고⋯.

콩알탄은 비교도 안 될 만큼 제대로 된 폭죽이었어⋯.

 

난툰구의 주민단.

궁에 들어갔다 나온 가마 몇 채와 수백 명의 인파가

줄지어 동네를 순회하러 출발.

 

인파가 떠난 완허궁.

 

마음이 들떠서 가만 구경할 수 있을 리가 없지.

향내와 종이 태운 내를 따라 몰래몰래⋯.

(부끄러우니까)

 

공물을 차린 상을 준비해 두었던 주민들은

마차가 집 앞을 지나가면,

꺼내둔 난로에 불을 붙이고 금지를 태운다.

 

그러면 오토바이를 탄 스님이

모든 집에 방문해 짧게 기도를 올려주신다.

 

도로를 통제하고 이어지는 행렬.

북도 치고 노래하고.

 

한마음 한뜻으로 구경.

 

생일 축하드립니다!

 

이번에는 더 발랄한 멜로디를 따라와 발견한 대만의 쓰레기차.

아주 느리게 달리고 있으면 주민들이 양손 가득 쓰레기봉투를 들고 직접 나온다.

놓치면 어떡하지? 싶었는데 밤에도 다니더라고요.

 

여행의 첫 목적대로 정처없이 많이 걸었다.

돌아가자!

 

헉헉 잠시만 구아바만 사고

 

잘 말랐니?

 

캐리어 없이 왔기 때문에 옷을 무조건 빨아 입어야 했다.

심지어 세탁기가 없는 숙소를 잡아서

가져온 세탁비누를 바르고 열심히 발로 밟았다.

세탁기는 훌륭한 문명의 이기야⋯.

 

구아바를 두 개나 먹고 저녁을 건너뛰려다

괜한 아쉬움에 야식을 먹으러 나왔다.

분명 표지판이 많지만 홍콩과는 사뭇 다르다.

 

숙소 주변의 동라이자기통찹쌀밥東來瓷筒米糕.

평범한 동네 식당이라 가족단위로도 손님이 앉아 있었다.

 

찹쌀밥인 미까오米糕와 돼지뇌탕豬腦湯.

 

내가 아는 맛으로 찾자면 약밥에 가깝다.

달달한 맛이 나고, 매콤 달달한 핫소스와 고수를 올렸다.

밥알이 쫀득하고 감칠맛이 강해서 너무너무 대만족!

 

곁들이로 돼지뇌탕을 시켰는데,

남녀노소 가리지 않고 모두가 미까오와 돼지뇌탕을 세트로 먹고 있었다.

이리처럼 탱글 하게 생겼지만 실제로 별 탄력은 없고,

흐물하게 입안에서 으스러지며 맛은 돼지 간과 비슷하다.

국물이 맑은데 잡내도 안 나는 건 향신료 덕일까?

 

미까오는 적은 양으로 싸게 먹는 음식인가 보다.

잘 먹고 하루 마무리.

 

눈 뜨자마자 지하철을 타고 이동.

이틀간의 타이중 일정을 끝내고

다음 도시로 가기 위해 타이중 고속 열차를 타러 왔다.

 

빠르게 헤어지게 된 타이중.

물론 아직까지 두 번이나 찾아간 해외여행지는 없지만

지금이 마지막이란 듯이 모두 보고 가기 보다는 

다시 올 사람처럼 미련 없이 떠나는 여행이 좋다.

 

나 가능성에 중독된 건가?

 

안녕, 臺中!

 

 

 

2025/04/16 오후 2시, 대만으로 출발.

3월 한 달 동안 프리랜서와 구직활동을 병행하며 지냈고,

운 좋게도 다시 사무직으로 돌아가게 되었다.

출근을 앞두고 백수 기간을 즐기기 위해 제일 싼 구간의 비행기표를 끊었다.
수요일 출국, 화요일 입국하는 7일의 일정.

 

 

가장 좋아하는 계절이 여름인 만큼 이미 더위가 시작된 곳으로 가고 싶었고,

홍콩과 대만 사이에서 고민하다 가본 적 없는 대만을 골랐다.

나름의 줏대로 대도심을 피해 도착한 첫 도시는

대만에서도 허리쯤에 위치한 중부의 타이중臺中.

 

출발 나흘 전에 표를 끊었으니 대만에 대해 아는 정보라곤 없었고

이렇게 오토바이가 많다고는 상상도 못 했는데⋯.

대만은 만 18세부터 오토바이 면허 취득이 가능하다고 한다.

그래서인지 남녀노소 반려동물 가리지 않고 모두가 오토바이를 능숙하게 타는 모습을 볼 수 있다.

 

감자튀김 인형뽑기 해볼걸.

⋯.

 

거리 곳곳에 사당이 많고, 무엇보다도 의자가 꼭 마련되어 있다.

기도하는 공간인 동시에 지붕이 있는 주민들의 쉼터다.

 

빕구르망 Night School Braised Pork Rice/夜間部爌肉飯.

하루 종일 쫄쫄 굶고 5시에야 여행을 시작했기 때문에 바로 저녁밥 콱콱.

 

콩로우판爌肉飯(돼지고기조림덮밥)과 데친 곱창을 주문.

 

허술한 종이 스푼으로 찔러도 비계든 살코기든 그대로 푹푹 갈라진다.

그렇다고 형체가 아주 뭉크러지는 일도 없다.

滷(간장)베이스의 졸임이지만 달달하니 감칠맛이 있어, 소스 묻은 밥만도 퍼먹을 수 있을 것 같은 맛.

 

내가 먹었던 콩로우판은 꼭 파오차이(절임채소)를 곁들여 줬는데

비계 붙은 부위를 쓰기 때문에 기름기 잡는 입가심용으로 꼭 필요하다.

 

데친 곱창에선 잡내가 없고 질기지도 않아 채 썬 생강과 먹으면 고소⋯.

 

간장에 오향가루가 들어있는지, 따로 넣어 만드는진 몰라도 특유의 향이 나는데

오향분을 사두고 집에서도 쓰는 사람인지라 거부감 없이 10분 컷 작살.

싸고 양도 적어 여러 메뉴를 시키기 좋다.

 

참고로 나는 여행 내내 루러우판滷肉飯(다진돼지고기덮밥)과

콩로우판을 구분하지 못하고 콩로우판만 먹고 돌아왔다.

바본가?

맛은 비슷하겠지. (그렇다고 해)

 

큰 도로 인근이 아니라면 인도가 따로 없고, 다들 도로의 가장자리에 오토바이를 주차한다.

그 가장자리에 테이블을 펴놓고 장사하는 식당도 많다.

많다고 해야 할지 인상으로는 몇 곳 말고 대부분 그런 것 같았다.

식당의 주방을 뚫고 지나가거나 혹은 당당하게 도로로 걸으면 알아서 피해 간다.

 

아무리 낮 온도가 30도까지 치솟아도 아직 봄이라 해는 빠르게 저물고,

볼거리를 찾아 펑지아야시장으로.

 

솔직한 감상: 명동거리.

긍정사고: 야식거리를 사기 좋은 곳이네요!

삼겹살 김치롤이 보이십니까?

글로벌 시대인 만큼 야시장의 메뉴도 글로벌 규격에 맞춰져 있다.

 

그 속에서 눈길을 끈 낯선 과일 한 봉지를 납치.

구아바 중에서도 속이 빨간 종인데, 사과에서 과즙과 당도를 덜어낸 듯한 맛에 아삭거리는 식감!

삼삼한 과일을 좋아해서 엄청 맛있게 먹었다!!!!

(강경 딱복파, 물복 안 먹은 지 몇 년 됨)

 

구아바만 뜯어먹고 숙소로 돌아와 낮에 산 펑리수 시식.

 

펑리수는 준메이Junn Mei Pastry Store에서 샀다.

대만 전역에서도 타이중에만 지점이 있는 베이커리로, 다양한 대만 간식을 판다.

 

버터 향도 파인애플 잼의 단맛도 과하지 않고 은은해서

단맛에 약한 사람이라면 추천.


2025/04/17, 오전 10시.

여행은 둘째 날이 가장 기운찬 법이다.

 

숙소 앞 골목.

 

위험!!!

7일 동안 떨어지는 야자수 잎을 맞은 적은 없다.

 

이지카드(요요카=교통카드)가 아직 없어 무한히 걷는다.

 

Botanical Garden에 도착.

자연사박물관과 붙어있는데, 단체 관람 온 아이들이 많아 가든에만 방문했다.

 

청설모!

 

야외에 조성된 공원이지만, 작은 돔도 하나 있다.

매표기로는 이지카드나 신용카드로만 결제 가능해서 못 들어가나 싶었는데

입구의 직원이 현금 결제를 받아준다.

 

 천장에서 네다섯 갈래의 물줄기를 뿌리고 있다.

가까이 가면 물을 맞습니다.

 

또설모!

밖에서 들어와 사는 거겠지?

 

그만 등장하셔도 됩니다.

 

지하층에서는 연못에 사는 물고기를 볼 수 있다.

 

아마존강 유역 어류 전시亞馬遜河流域 魚類展示.

피라루쿠⋯말고는 기억에 남는 물고기가 없다.

 

벌집은 왜 전시해 둔 걸까.

설마 여기에 자리 잡은 걸 뜯어내고 기념으로?

 

어린 시절의 가짜 추억이 떠오르는 중.

 

돔 주변으로는 나무가 빼곡한 공원이 조성되어 있다.

굽이치는 형태의 수로와 다리를 놓아두어서 확실히 색다르고 좋다.

 

공원에서 만날 수 있는 것 1: 도마뱀.

 

공원에서 만날 수 있는 것 2: 아기.

 

공원에서 만날 수 있는 것 3: 맥주(비어있음).

 

어딜 가나 식물이 무성.

 

위치도 가리지 않고, 나무의 크기도 한국과는 달리 키도 높다.

 

가든을 다 보고 건너편의 박물관을 가로질러 가는 길.

 

是地利環之有恩
이 땅과 환경은 은혜로움이 있다

野生動物是賴以建立大地生命的建築
야생동물은 대지 생명의 기반을 이루는 건축물이다

它們悄悄地消失…
그들은 조용히 사라지고 있다

這啟示人類對自然生態之破壞及環保的忽視
이것은 인간의 자연 생태 파괴와 환경 보호의 무시에 대한 경고이다

為了我們子孫——
우리 자손을 위하여——

唯有珍惜保護,才有生命之泉
소중히 아끼고 보호해야만 생명의 샘이 있을 수 있다

1998년 9월 18일 헌납

 

박물관 외부에도 큰 공룡 모형이 놓여있고, 그 앞의 신호등에도 공룡 그림.

걷는 애니메이션이 들어가 있다.

귀엽군!

 

이쯤 보고 나면 점심시간이니 밥 먹으러

인근에 위치한 용화각龍華閣川味牛肉麵水餃에 방문.

 

그리고 충격적이게도 메뉴를 잘못 주문하고 마는데….

밀가루 면으로 만든 전형적인 이미지의 우육면을 먹어보고 싶었는데 당면이 나왔고,

매운 것으로 시켰더니 국물에서는 오직 매운맛만이….

바본가?

그래도 소의 살코기 몇 덩이와 큰 연골을 넣어주어 고기만 먹어도 든든하다.

 

반면, 칠리오일 새우 완탕은 기억에 남을 만큼 맛있다.

즈마장을 바닥에 깔아주어서 잘 섞어 찍어 먹으면, 

다지지 않고 한 마리 통으로 넣은 큰 새우완탕이랑 잘 어우러진다.

이 집은 완탕 메뉴만 시켜 먹어도 만족스럽겠다.

 

''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만台湾 - 타이중臺中 (춘수당, 타이중공원, 완허궁, 동라이찹쌀밥)  (1) 2025.04.30
가을, 예술의전당  (0) 2025.01.01
京都  (0) 2025.01.01
大阪  (0) 2025.01.01
도심의 물가에서  (0) 2024.06.29

가을, 예술의전당

2025. 1. 1. 21:16

京都

2025. 1. 1. 20:53

 

2024/12/19~20

 

 

大阪

2025. 1. 1. 20:43

 

2024/12/18

 

 

''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을, 예술의전당  (0) 2025.01.01
京都  (0) 2025.01.01
도심의 물가에서  (0) 2024.06.29
초여름에  (0) 2024.06.29
八月七日  (0) 2023.08.07

도심의 물가에서

2024. 6. 29. 14:50

'' 카테고리의 다른 글

京都  (0) 2025.01.01
大阪  (0) 2025.01.01
초여름에  (0) 2024.06.29
八月七日  (0) 2023.08.07
八月六日  (0) 2023.08.07